카테고리 없음

구글드라이브 사용법 알아볼게요

요즘에는 USB나 외장하드를 들고다니면서 급한 업무를 처리하거나 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물론 지금은 각 회사에서 제공을 하고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네이버의 N드라이브나 구글 드라이브등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는데요.


인터넷이 되는 환경이라면 어디서든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편리하게 이용을 할 수 있는거 같습니다. 다만 인터넷이 되지 않는 곳이 있다면 별 수 없이 USB 등의 저장장치를 들고다녀야 할 수 있겠죠 그래서 오늘은 구글드라이브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해보려고 합니다.



크롬이나 익스플로러를 이용하여 구글사이트로 로그인을 하신 이후에 크롬 메인화면 우측 상단에 네모 9개로 구성된 앱부분을 클릭을 하게 되면 위 화면 처럼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나오게 됩니다.



이중에서 우리는 구글 드라이브를 사용을 하기 위함이니 드라이브를 선택을 해주세요.

그외에 접속 방법은 구글이나 네이버 등에서 검새을 통해서 입장을 할 수 있습니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사용을 위해서 구글 계정이 있어야 겠지요.



구글드라이브는 기본 15기가바이트의 용량을 이용을 할 수 있습니다. 용량을 늘리기 위해서는 위 화면에서 좌측 하단에 있는 저장용량 업그레이드를 누르시면 되시는데요.


저장용량은 100기가로 늘리게 되면 한달에 $1.99의 비용이 발생을 하게 됩니다. 1테라로 늘릴 수도 있는데요. 이때는 $9.99의 비용이 들게 됩니다. 이런식으로 최대 30테라 까지 이용을 할 수 있어요 제 하드가 2테라 인것에 비하면 엄청나게 큰 용량입니다.



기본적으로 새로만들기 버튼을 눌러서 폴더를 생성을 할 수 있습니다. 폴더를 만든 다음에 해당 폴더로 들어가게 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오게 되는데요 구글드라이브 사용법은 굉장히 간단합니다. 


폴더 클릭하고 들어간 공간에다가 다른 파일을 드래그 앤 드랍으로 옮기거나 새로만들기 버튼으로 컴퓨터내에 있는 파일을 저장을 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에서도 구글 드라이브 앱을 활용하여 사용을 할 수 있으니 편리하겠죠.



그런식으로 파일을 옮겨 노았습니다. 사용방법 역시 간단 합니다. 만약에 다른 사람이랑 공유를 할수 있는 폴더를 만들려고 하신다면 구글 드라이브 사용법을 보시게 되면 간단하게 진행을 하실 수 있으신데요.


현재 공유폴더를 구글 드라이브 내에서 새로 생성을 합니다. 아무 폴더를 만들고 그 이후에 폴더 설정을 통해 공유 폴더를 만들 수 있어요.



이 방법은 위 메시지와 마찬가지로 다른분과 공동작업을 할때 같은 위치에 있는 경우가 아니라면 파일을 이용을 하는데 다소 어려운점이 있습니다. 매번 이메일이나 메신저 등으로 주고 받거나 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구글드라이브 사용법 중에 이방법을 이용을 하여 간편하게 폴더를 공유를 하여 이용을 할 수 있습니다.



우선 새로 생성된 폴더나 기존에 있는 폴더 상태에서 마우스 우클릭을 하여 메뉴를 불러 옵니다.

3번째 칸에 있는 공유 버튼을 누르시게 되면 나의 드라이브 폴더에 엑세스를 할 수 있는 권한을 줄 수 있게 됩니다.



다른 사용자와 공유 가 가능하게 되는 부분이 있는데요. 이곳에서 사용자 이름 또는 이메일 주소를 입력을 하여 완료 버튼을 누르게 되면 자신이 지정한 특정인에 한해서 나의 폴더에 접속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죠.


구글드라이브 사용법 참 간단하죠? 스마트폰에서 구글앱을 설치를 하신다면 사용방법은 더욱 쉬우니 천천히 진행을 하시면 됩니다. 언제 어디서든 인터넷만 되는 공간이라면 구글 드라이브에서 파일을 내려받거나 올릴 수 있습니다.


,

최근 댓글

최근 트랙백

알림

이 블로그는 구글에서 제공한 크롬에 최적화 되어있고, 네이버에서 제공한 나눔글꼴이 적용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