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국민연금 계산법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우리나라뿐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기대수명이 늘어남으로써 노후 생활을 어떻게 할 것인지가 걱정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100세 시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라고 하고 인생은 60부터라고 하더라도 틀린 말은 아닙니다.


하지만 60세가 넘어가게 되면 젊었을때 보다 병원비 등의 비용이 더 많이 들어가게 될거 같은데요. 고령사회로 넘어가게 되면서 오히려 문제가 될 수도 있는 부분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국민연금은 연령졔한없이 계속 받을 수 있으니 상당히 좋은 제도 이긴 한데요. 어차피 대한민국에서 근로를 하게 되면 어쩔 수 없이 내게 되어 있어서 오늘은 국민연금 계산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일단 국민연금 예상 수령금액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로 이동을 하셔야 겠죠?

네이버 나 구글 등 주로 이용을 하고 계시는 포털을 검색을 하셔서 접속을 해주세요.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에서 국민연금 계산법을 알아보시기 위해서는 공인인증서가 필수적으로 있어야 합니다. 기본적인 로그인 방법이 주민등록번호 + 공인인증서 로그인이기 때문인데요. 일단 메인페이지로 가볼까요?



이곳에서 다양한 부분들을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만약 국민연금지사를 검색을 하거나 직원을 검색을 할 수도 있고 경영공시 및 개인 민원 조회 또는 증명 발급을 할 수도 있습니다. 국민연금을 포함한 4대보험 포털을 찾아갈 수도 있구요.


일단 국민연금 예상 수령액 계산을 하기 위해서 위 화면에서 우측 하단에 있는 내연금 노후준비로 들어가 봅니다. 



그럼 위와 같은 화면으로 변하게 되면서 화면 아래쪽에 빠른서비스 부분에서 맨 먼저 있는 국민연금 예상연금조회 부분을 클릭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현재 제가 크롬을 이용을 하고 있는 중인데 웹 보안프로그램이 설치가 되지 않고 있네요; 익스플로러 에서는 인증서가 보이지 않는 오류가 나오고 있어서 지금 실제로 확인을 못하고 있는데요.


이곳에서 인증서 로그인을 하시게 되면 간단하게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60세까지 납부를 하였을 경우에 예상 수령금액을 계산을 하여 나오게 됩니다.



금액이 분명 크지는 않습니다. 65세 등 국민연금을 수령할 수 있는 나이의 물가를 계산을 하여서 실제 수령금액이 나올 수 있다고 예상이 됩니다만 금액이 크지가 않아요. 국민연금 계산법 등을 알아보시고 하시더라도 더 많은 연금을 받기 위해서는 최대 금액을 납부를 꾸준히 하는게 노후생활을 위하는 방법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그때까지 국민연금이 고갈되지 않고 남아 있을지 의문을 표하는 분들도 계시는거 같긴 합니다. 그때가 되어 봐야 정확히 알 수 있겠네요.


,

최근 댓글

최근 트랙백

알림

이 블로그는 구글에서 제공한 크롬에 최적화 되어있고, 네이버에서 제공한 나눔글꼴이 적용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