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바 시급 계산기 사용해서 최저임금법 위반인지 보자
2016년 들어서 최저시급이 8.1%나 올랐습니다. 5580원에서 6030원으로 오르면서 최저임금 역시 올랐는데요. 예전에 알바를 할때 시금이 4천원대 인것을 생각을 하면 감회가 새롭습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세계적인 추세에 따지면 우리나라 알바 시급은 여전히 낮게 느껴지는데요. 그리고 내가 받고 있는 급여가 최저임금법 위반인지 아닌지도 알아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알바 시급 계산기를 사용하여 급여를 측정을 해보는 방법을 알아볼까 합니다. 걸스데이의 혜리가 광고를 하고 있는 알바몬의 계산기를 활용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검색사이트에서 알바몬을 검색을 해볼게요. 오늘 알려드릴 알바 급여 계산기는 정확하게는 시급을 월급으로 따졌을때 얼마가 나오는지 체크를 해보는 기능입니다.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 입니다. 실제로 알바를 하고 난 이후에 받은 급여가 정확히 얼마가 되는지.. 내가 받은 급여가 정상적으로 받은게 맞는지 확인을 할때 이용을 해볼 수 도 있어요.
맨 처음 이야기한대로 법으로 정해진 범위 내에서 정상적으로 받는지도 알아볼 수 있구요.
알바를 시작을 할때 사장님께서 알려주신 시급이 얼마인지를 먼저 알아두셔야겠죠. 일단 알바 시급 계산기를 이용을 하기 위해서는 알바몬 에 들어가셔서 채용정보에 마우스를 올리게 되면 하부 메뉴가 나오게 되는데요.
우측 중간쯤에 급여, 복지별 알바정보 부분으로 이동을 하게 되면 급여별 알바 부분이 보이실 겁니다. 급여별 알바로 이동을 한번 해볼게요.
이곳은 원하는 시급, 급여별로 다양한 직업군을 찾아볼 수 있는 부분인데요. 우측 상단에 보여지는 알바급여계산기로 이동을 합니다.
자아~ 그럼 알바 시급 계산기가 나오게 되는데요. 이름은 알바 급여 계산기라고 되어 있네요. 시급을 원급으로 환산을 하거나 월급을 시급 또는 주급을 월급이나 연봉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용을 할 수 있습니다.
사장님이 정해준 시급이 최저시급인 6030원이라고 가정을 하고 하루 8시간씩 한달 20일을 근무를 했을때 내가 실제 받는 실수령액이 얼마인지 계산을 해보도록 할게요.
세금 적용을 하지 않고 계산을 하게 되면 964,800원이 나오게 되는데 알바 시급 계산기의 세금 적용 부분으로 계산을 하게 되면 883,757원이 나오게 됩니다. 여기서 알바 급여 계산기 사용방법은 끝이 나는데요. 일당으로 받는 경우 최저임금법 위반인지 아닌지 확인을 한번 해보길 바랍니다.
만약 일당은 5만3천원을 받는다고 가정을 했을때 하루 9시간을 근무를 하고 별도 1시간의 휴게시간이 있다고 보면 시급이 6,000원이 됩니다. 그럼 최저시급 6030원 보다 적게 되기 때문에 최저임금법 위반이 됩니다.
최소 일당은 55000원으로 늘리거나 근무시간을 30분이나 한시간을 줄여야 하겠죠. 이런 방식으로 시급 과 일당을 계산해 보면서 자신이 정상적인 급여를 받고 있는지 확인을 해볼 필요가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