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내 컴퓨터 맥주소 확인 방법

컴퓨터에서 인터넷을 하기 위해서는 랜카드 또는 모뎀 등이 필요하게 되는데요. 이때 랜카드 등에는 고유 식별 번호가 있습니다. 이것을 매체 접근 제어 주소 라고 부르는데요. 맥주소 혹은 MAC 어드레스 (영어로만 썼을뿐;;) 라고 부릅니다.


간혹 이 맥주소 확인 을 해야 하는경우가 있는데요. 아이피와 달리 이 맥어드레스는 부품을 교체하지 않는 이상 바뀌지 않습니다. 또한 주소의 규칙이 정해져 있는데요. 일단 MAC 주소 조회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맥주소 확인 방법은 두가지가 있습니다. 어렵지 않은데요. 하나는 명령프롬프트에서 확인하는 방법과 다른 하나는 제어판 에서 네트워크 환경을 확인하는 방법 이 있습니다.



일단 명령프롬프트 를 실행하기 위해 윈도우시작 + R 버튼으로 위와 같이 실행창을 여신다음 CMD 를 입력을 하여 엔터를 쳐서 명령프롬프트를 열어주세요.



그럼 위오 같은 도스 화면이 나오게 될텐데요. 그 상태에서 바로 IPCONFIG /ALL 라고 입력을 해줍니다. 대소문자는 크게 상관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그럼 위와 같이 이더넷 어댑터 이더넷 이라고 나오는 부분이 있고 아래쪽에 연결별 DNS 접미사 라고 하며 내용이 나오고 그 아래쪽에 물리적 주소 라고 되어있는 곳이 있습니다. 바로 이부분이 맥주소 인데요. 형식은 알파벳 숫사 조합으로 두자리씩 나눠져 있는걸 찾으시면 됩니다.



그리고 맥주소 확인 하는 두번째 방법은 제어판으로 들어가셔서 네트워크 및 인터넷으로 이동을 해주세요.



그리고 네트워크 및 공유센터로 이동을 하시면 되십니다.



그리고 기본 네트워크 정보 보기 및 연결 설정이라고 되어 있는 부분 아래쪽에 자신 컴퓨터의 네트워크 부분이 보이실텐데요. 이때 마우스 우클릭으로 설정을 들어가셔도 되고 지금 보시는 화면은 윈도우10 버전이라 우측에 있는 연결 부분에 이더넷을 클릭을 하셔야 합니다.


그럼 아래와 같은 창이 뜰겁니다.



이더넷 상태 라는 창이 뜨고 이부분에서 자세히(E).. 버튼을 눌러줍니다. 그럼 맥주소 확인 하는 마지막에 다가온것이죠.



그럼 아까 명령프롬프트 에서 보았던 내용과 배경색과 폰트만 다르지 똑같은 내용들을 보실 수 있습니다. 설명 아래 물리적 주소 부분이 나오게 되는데요. 역시 이부분이 mac 주소 확인 하는 방법중 하나 입니다. 

몇번의 클릭만으로도 쉽게 찾을 수 있는데요. 둘중 편하실 방법으로 이용을 하시면 되실거 같습니다. 그럼 오늘도 즐거운 하루가 되시길 바랄게요!


,

최근 댓글

최근 트랙백

알림

이 블로그는 구글에서 제공한 크롬에 최적화 되어있고, 네이버에서 제공한 나눔글꼴이 적용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