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인터넷으로 처방전 조회 하는방법

예전에는 약국에도 약을 짓기도 했고 처방전 없이 약국에서 약을 지어가기도 했었는데요. 요즘에는 병원에서 진료를 하고 처방전을 가져가지 않으면 약을 지을 수 없습니다. 의료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전문 약사에게 조제를 맡기게 되는 것인데요.


조제되는 약의 성분이 어떤 내용인지 정확히 알기위해서는 처방전 조회를 할 필요가 있습니다. 병원에서 조회를 할 수도 있습니다만 인터넷으로 확인을 할 수도 있습니다. 그 방법을 알아보도록 해보겠습니다.



일단은 자신이 한번이라도 처방을 받았을때에만 처방전 조회를 하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가족중의 다른 사람의 정보를 보실 수는 없으시고 무조건 본인의 것만 확인을 해보실 수 있어요.



이때 필요한 준비물이 한가지 있습니다. 바로 공인인증서 입니다. 공인인증서 외에는 본인인증 방법이 없는듯 한데요. 그게 조금 불편하지만 일단 있으시다면 이용을 하실 수 있어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홈페이지에 접속을 하시면 처방전 조회를 하실 수 있습니다. 접속하고 화면을 조금만 아래로 내려 보시게 되면 병원평가, 의약품정보조회 등이 보이는 내용이 있을 겁니다. 그 아래쪽에 보시면 위와 같이 빨간 밑줄 친 부분이 보이실 건데요.


내가 먹는약! 한눈에 라는 내용이 보이게 되실 겁니다. 내가 병원에서 차방을 받았고 해당 처방전으로 약국에서 어떤 약을 지었는지 한눈에 볼 수 있게 되어 있네요. 상당히 편리하죠?



이용절차 부분이 있습니다. 개인정보 수집동의를 하고 공인인증서로 본인확인 그리고 서비스릴 이용을 하게 되면서 의사/약사 투약이력 조회 열람을 할 수 있게 됩니다.


처음에 말씀드렸지만 본인의 처방 내역만 조회를 할 수 있다는점 참고를 하시고 아래쪽으로 이동하셔서 개인정보 수집 동의를 하고 본인인증을 진행해 줍니다.



전체동의를 하지 않으면 이용을 할 수 없는 부분입니다. 아무래도 지금 부터 보는내용은 개인정보 이다 보니 주민번호와 본인인증을 해야 하는데요. 휴대폰 등의 인증을 하나 더 추가해준다면 보다 편리할 수 있을거 같습니다. 공인인증서를 항상 가지고 다니는게 아니기 때문이기도 하죠.



그리고 본인 인증을 하고 난 다음에는 조회가기 1개월 부터 3개월까지 선택이 가능하고 검색하기 버튼을 누르시게 되면 자신이 먹었던 약 그러니까 처방전 조회를 할 수 있게 됩니다.


저의 경우에는 약국에서 처방받은 내역이 없더군요 병원에 갔던 기억이 언제인지 모르겠습니다. 본인의 건강을 위해서라도 몸에 이상이 있다면 꼭 병원에 다녀오시고 처방을 받아서 약을 드시는데 가급적 약의 성분을 알아보시고 드시는걸 추천드릴게요. 그럼 지금까지 인터넷으로 처방목록 조회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

최근 댓글

최근 트랙백

알림

이 블로그는 구글에서 제공한 크롬에 최적화 되어있고, 네이버에서 제공한 나눔글꼴이 적용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