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계산법 알아봐요 계산기 활용법
직장을 다니시는 분들은 월급을 받을때 4대보험을 떼고 받게 됩니다. 물론 근로자가 100% 부담하는 것은 아니고 사업장과 절반을 나눠서 납부를 하게 되는데요. 이때 포함되는 것이 국민연금 입니다. 국민연금의 경우 가입을 하지 않는 선택권은 없는데요. 정상적인 회사를 다니는 경우라면 국민연금을 납부를 해야합니다.
당장에는 납부하는 납세자가 득을 보는건 없지만 65세 이후에 은퇴를 하고 나면 연금으로 받을 수 있게 됩니다. 노후대책중에 기본이 되는 것인데요. 내가 과연 얼마를 받을 수 있을지 국민연금 계산법 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국민연금공단에서 제공하고 있는 계산기를 활용하여 내가 얼마를 받을 수 있을까 예상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무래도 정확한 수치를 기대할 수는 없을거 같습니다. 현재 30대 혹은 40대라면 10년뒤에 소득금액이 어떻게 변할지 정확히 모르기 때문인데요.
그래서 현재의 소득을 토대로 하여 국민연금 계산법 을 적용하여 계산기를 활용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위 그림 처럼 국민연금공단을 검색하여 사이트로 접속을 해주십니다.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접속하셨다면 내연금 알아보기 로 들어가셔야 하는데요. 우측 하단에 알아보기 라는 메뉴가 있습니다. 이곳으로 이동을 하셔서 국민연금 관련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만약 현재 급여에 따라 얼마가 국민연금으로 납부를 해야하는지 보고싶으시다면 보이시는 부분에서 4대보험 계산기를 활용하시면 되실거 같네요.
그리고 다음 화면에서는 나의 예상연금 조회 라는 메뉴를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안에 예상연금 모의계산 을 클릭을 해봅니다. 이제 이곳에서 국민연금 계산법 이 적용된 계산기를 활용할 수 있어요. 몇가지 수치를 입력을 하시면 되시는데요. 함께 보시죠.
가장먼저 생년월일을 입력해야 합니다. 그리고 국민연금 최초 가입년월을 선택하시면 되시는데 최초 직장 입사월 에서 3개월 정도 뒤를 선택 하시면 되시겠습니다. 수습기간이 있다고 보구요 ^^ 그리고 국민연금 최종상실년월은 자동으로 생성이 될겁니다. 예상 소득상승률은 0에서 20%를 자유롭게 설정 하시면 되시는데 대충 10% 해줍니다.
마지막으로 월소득을 넣으시고 아래쪽에 결과보기 버튼을 누르시면 됩니다.
자 그럼 노령예상연금 이라고 나오는 부분이 있는데요. 이것이 국민연금 계산법 최종 결과 입니다. 현재 가치로 따진다면 상당히 적은 금액이 될 텐데요. 미래가치 를 보시게 되면 훨씬 많이 증가한 모습을 보실 수 있습니다.
물론 미래 가치를 따졌을때 저 돈이 결코 많은 돈은 아닐겁니다. 얼마전부터 국민연금 고갈이 된다 만다 라는 말이 나오고 있는데요. 정부에서는 어떠한 수를 써서라도 국민연금이 고갈되지 않게 하고 고갈되더라도 국민에게 부담을 주지 않겠다고 했었습니다. 현재는 선택의 여지가 없습니다. 앞으로 어떻게 될지 지켜봐야 할거 같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