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월급 세금계산 해보아요. 연봉 계산기 활용

벌써 8월 입니다. 지난달 월급은 통장에 잘 남아 있는지 모르겠네요. 일반적인 회사를 다니신다면 월급을 받게 되면 4대 보험을 떼기 때문에 당연히(?) 원천징수를 하여 세금을 떼고 받게 됩니다.


분명 우리가 알고 있는 월급보다는 훨씬 작은 금액이 들어오게 됩니다. 이는 국민연금과 건강보험 그리고 고용보험등을 떼게 되기 때문이죠. 그럼 정확히 내 월급에서 얼마정도가 세금으로 빠지게 될까요? 국민연금의 경우 9%가 빠지게 되는데 근로자와 회사가 나눠서 내게 됩니다. 하지만 월급 세금계산 을 해보면 알 수 있겠죠.



취업정보 사이트 사람인으로 들어가게 되면 다양한 정보들을 이용을 하실 수가 있게 되시는데요. 그중에서 연봉계산기를 활용한 방법으로 월급 세금계산을 하는 방법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사용방법은 간단합니다 우선 위와 같이 사람인 사이트로 접속을 하시면 되시는데요. 사이트 주소를 모르실 경우 위와 같이 검색을 하셔서 이동을 하시면 되세요.



사람인 사이트로 들어오시게 되면 위와 같은 화면을 보실 수가 있습니다. 메인에 있는 배너 우측을 보시게 되면 글자수 세기, 학점변환 등의 메뉴가 있는데요. 어떤걸 선택을 하셔도 됩니다. 학점변환을 클릭을 해보도록 할게요.



그럼 위와 같이 학점 변환을 하는 부분이 나오게 되는데 이것이 중요한건 아니고 우측에 성공취업도우미 라는 부분을 보시게 될텐데요. 맨 처음에 있는 나의 예상 실수령액은? - 연봉계산기 라는 부분을 클릭을 하시면 됩니다.



그럼 월급 세금계산 을 할 수 있는 사람인 연봉계산기 가 나오게 됩니다. 사용방법은 간단해요. 연봉제 또는 월급제를 선택을 해줍니다. 그리고 세전 금액을 입력을 하면 되세요. 월급이 200만원 이라고 가정을 했을때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비과세액 부분에 10만원 이라고 입력을 했는데요. 이부분은 실제 회사에서 적용이 되는지 확인을 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각 항목에 물음표가 있는데 이곳에 마우스를 올리게 되면 과세금액의 몇프로를 공제 하는지 확인 하실 수 가 있어요.



그리고 연봉제로 월급 세금계산 을 해볼 수도 있습니다. 연봉을 선택하게 되면 월급과 달리 퇴직금 부분을 선택할 수 있는데요. 별도 또는 포함이라고 되어 있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퇴직금 별도 인데 얌체(?) 같은 업체의 경우 연봉이 많아 보이기 위해 퇴직금 포함이라고 하는 곳이 있습니다.


법적으로 문제가 없습니다. 그냥 한가지로 동일하게 이용을 하는게 가장 좋을거 같은데요. 어쨋든 지금 처럼 연봉계산기를 활용하여 월급을 받을때 세금이 얼마나 발생을 하는지 알아볼 수 있었습니다.


,

최근 댓글

최근 트랙백

알림

이 블로그는 구글에서 제공한 크롬에 최적화 되어있고, 네이버에서 제공한 나눔글꼴이 적용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