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17. 5. 2

한글 수식넣기 이렇게 해봐요

보통 엑셀을 이용할때 수식을 넣게 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한글에서도 입력을 할 수가 있는데요. 물론 엑셀에서 이용하는 수식과 오늘 말씀드릴려고 하는 수식은 조금 차이가 있습니다. 엑셀에서는 수식을 이용하여 값을 보여주게 하는 경우라면 한글에서는 수식으로 인해 나오는 값이 아닌 수식 자체를 입력하도록 하는 방법인데요.


한글 프로그램에서 수식편집기를 활용하여 수식을 보이는대로 입력을 해서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도록 할게요.



한글 수식넣기 방법은 상당히 간단합니다 보통 분수를 입력을 할때 이용하기가 1/4 등의 형식으로 입력을 하실때가 많지만 정확하게 입력을 하실려고 하신다면 다른 방법을 생각해 볼 필요가 있을거 같아요.



하지만 원래는 ¼ 이런식이거나 정확하게 분모가 아래에 분자가 위로가게 작성을 해야 하는 부분이 맞긴 한데요. 그런 방식으로 일반적으로 글로는 쓸 수 있지만 워드 등에서 작성하기 어려운 수식을 한글 문서에 넣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한글을 실행을 하시고 상단에 있는 메뉴들 중에 입력을 눌러 줍니다. 그리고 그 안에 개체로 들어가시게 되면 수식이라고 되어 있는 부분이 보이실 거예요. 해당 부분을 클릭을 해줍니다.



그럼 수식 편집기 라는 창이 하나 열리게 되는데요. 이곳에서 다양한 수학 공식등의 수식을 입력을 하실 수가 있습니다. 위와 같이 다양한 부분들을 보실 수가 있는데 수학 기호를 선택을 하시고 거기에 맞게끔 숫자를 입력을 해서 수식을 완성 시킬 수가 있습니다.



이런 방식으로 수식 옆에 붉은 네모칸이 생성이 되게 되는데 그곳에 임의의 숫자를 직접 입력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말그대로 한글 수식넣기 이기 때문에 자동적으로 계산을 하는 기능은 없습니다. 아마도 없을 거예요 ^^;; 이런 방식으로 진행을 하실 수가 있으실 거 같습니다.



그외의 행열이나 시그마 등 다양한 수식 부호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것만 봐도 현기증이 날 정도로 수학을 싫어하는 제 자신이 느껴지네요 ^^;



그리고 수식 편집기 창을 닫으시면 본문에 삽입을 할건지 물어본다고 합니다. 아니면 우측 상단에 넣기 버튼을 누르면 한글 본문에 수식이 들어가게 되겠습니다. 다만 이때 수식을 입력을 하시게 되면 글자 크기가 조금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수식 편집기의 폰트 크기 등을 미리 확인을 해보시는게 좋을거 같네요.


,

최근 댓글

최근 트랙백

알림

이 블로그는 구글에서 제공한 크롬에 최적화 되어있고, 네이버에서 제공한 나눔글꼴이 적용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