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srt 좌석배치도 알아보기

우리나라에는 다양한 대중교통들이 있습니다. 근거리를 이동할 때에는 버스나 지하철을 이용할 수 있고 좀 먼 거리를 이동을 하게 될때에는 비행기나 기차를 이용하게 되는데 비행기도 행사를 할 때에는 엄청나게 저렴한 가격에 이용할 수도 있을거 같네요.


물론 저가항공사 들이 그런 부분이긴 한데 대부분 ktx 나 srt 등을 많이 이용을 하게 되실거 같습니다. 그럼 ktx 와 srt 의 차이점은 무엇이 있을까요?



오늘은 srt와 ktx의 간단한 비교를 하고 srt 좌석배치도에 대해 알아볼건데요. 기본적으로는 노선자체가 조금 다릅니다. 그리고 궁극적으로 달라지는 점은 운영을 하고 있는 주체가 다르다는 점 일거 같은데요.



ktx 한국철도공사 즉 코레일에서 운영을 하는 것이고 srt 는 자회사인 sr 에서 운영을 하는 것이라고 보면 될거 같아요. 같은 집이라고 생각이 들 수도 있고 다르다고도 볼 수 있겠죠. 하지만 노선은 ktx 와 대부분 같이 사용을 하는 것으로 보여지네요.



인터넷 웹사이트에서 예매를 할때 비회원으로 예매를 하실 수도 있지만 좌석을 선택을 할 수가 없게 되어 있더군요. 그래서 당연히 srt 좌석배치도 를 볼 수 조차 없는데 이메일 인증과 스마트폰 인증 두개를 모두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긴 하지만 해야 정상적으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을거 같습니다.


sr 사이트에 접속을 하시고 예매를 시작하시게 되면 위와 같은 창이 열리게 되어 있고 이곳에서 일반실 좌석선택 혹은 특실 좌석선택을 진행 해 주시면 되네요.



지금 보시는 화면은 일반실의 좌석배치도 입니다. 기본적으로 ktx와 별다른게 없어요. 예매를 하고 난 이후에 여러분들게서 선택한 열차의 위치를 파악하는데 사용하시면 좋을거 같습니다.


일반실 1호차 에서 앞쪽부터 1,2,3 으로 되어 있고 가는 방향으로 봤을때 우측에 A,B,C,D 순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보실 수가 있으실 거 같네요.



마지막으로 SRT 좌석배치도의 특실 부분인데요. 보통 3호차가 특실로 되어 있습니다. 찾으시는데 크게 무리가 없을 걸로 보여집니다.


지금은 촉박한 시간으로 예매를 진행하다 보니 1인 좌석의 경우 이미 예매가 끝난 상황이네요. 빈자리를 체크를 해서 이용을 하시면 좋을거 같네요. 즐거운 여행 되시길 바라며 더위 먹지 않도록 조심히 잘 다녀오세요~


,

최근 댓글

최근 트랙백

알림

이 블로그는 구글에서 제공한 크롬에 최적화 되어있고, 네이버에서 제공한 나눔글꼴이 적용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