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usb 4기가 이상 파일 넣기 방법

노트북이나 태블릿 pc 등을 이용하여 외부에서도 컴퓨터를 이용할 일이 있을 경우 자유롭게 사용을 할 수가 있습닌다. 하지만 업무적으로 이용을 해야 해서 사무실에서는 데스크탑을 이용하고 외부에 나가서는 노트북을 사용해야 한다면 동일한 자료를 들고 다녀야 하는데요.


물론 인터넷이 되는 환경에서만 사용한다면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시면 됩니다. 그렇지 않을 경우 usb나 외장하드를 들고 다녀야 하게 되겠죠.



어떠한 저장장치를 이용하셔도 되시는데 개인적으로는 usb를 선호하지 않습니다. 떨어트리거나 오류로 인해 자료가 다 날라가는 경우가 꽤 많이 있었거든요. 어쨋든 usb를 이용하신다고 하시게 되면 간혹 이런 문제에 맞딱뜨리게 될 수 있어요.



usb의 총 용량은 수십기가바이트 인데 반해 파일 하나당 4기가 바이트 이상을 저장할 수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usb 4기가 이상 파일 넣는 방법에 대해 알아볼건데요. 의외로 간단합니다.



일단 문제가 되고 있는 usb를 컴퓨터에 연결을 합니다. 그리고 4기가 이상 파일 이 들어가지 않는 것을 확인을 하셨고 usb를 끼우고 난 이후에 폴더나 탐색기에서 위와 같이 usb가 연결이 되는 것을 보실 수 있게 되실 거예요.


이 상태에서 usb 연결된 부분을 마우스 우클릭을 합니다. 그럼 위와 같은 부분이 보이게 되는데 아래쪽을 보시게 되면 포맷(A) 라고 되어 있는것이 보이실 거예요. 포맷을 누른다고 해서 바로 포맷이 되는게 아니기 때문에 안심하시고 클릭 해주세요.



그럼 위와 같이 USB 드라이브 형식 이라는 부분이 보입니다. 아마 별도의 설정을 하지 않으셨고 최초 구매한 대로 사용하고 계시면 파일 시스템이 FAT32(기본값) 으로 되어 있으실 거예요.


이대로 사용하시게 되면 대용량 파일을 이용할 수가 없게 됩니다. 원리나 정의는 저도 잘 모르겠는데요 ㅠㅠ 어쨋든 파일 시스템형식을 변경 하시게 되면 usb 4기가 이상 파일 넣기를 진행 할 수 있게 되실겁니다.



어떤 형식으로 저장을 하느냐 하면 NTFS 라고 하는 것이예요. 지금 보시는 화면은 3가지 형식만 존재하게 되는데 다른 윈도우 버전을 이용하시게 되면 더 있을 수도 있습니다. 일단은 NTFS 를 이용하여야만 정상적으로 4기가 이상의 대용량 파일을 넣을 수 있게 되실 겁니다.


만약 이부분이 없다면 다른 컴퓨터에서 USB를 포맷을 해주세요. 위와 같이 설정을 마찬뒤에 포맷을 진행 해야만 하고 기존에 저장 되어 있던 파일은 삭제 되니 주의 하세요!


,

최근 댓글

최근 트랙백

알림

이 블로그는 구글에서 제공한 크롬에 최적화 되어있고, 네이버에서 제공한 나눔글꼴이 적용되어 있습니다.